[책] 13.67 – 찬호께이, 강초아 옮김, 한스미디어, 2023.
홍콩의 역사와 함께 얽혀 흘러가는 삶과 사건들의 기록, 그 속에 살아 움직이는 경찰 캐릭터.
인상적인 경찰 추리 소설
인상적인 추리 소설입니다. 추리 소설 주인공이 경찰일 경우 아무래도 제약이 걸려 흥미를 반감시키는 요소가 됩니다. 조직에 속해 있고, 사립탐정 등의 인물보타 독단적으로 움직이기 어렵다는 특징과 연관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홍콩에서 자라고 대만에서 활동하고 있는 저자는 그런 제약을 넘는 역량을 보여줍니다.
단편들로 쌓아 올린 독특한 시간 재배치
6편의 단편이 시간의 역순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1967년부터 2013년까지 짧게는 5-6년부터 길게는 10년 이상의 터울을 두고 각각 일어나는 사건들과 이를 해결하는 경찰관들의 행적을 쫓습니다. 그런 면이 13.67이라는 제목에서 암시됩니다. 굳이 이런 형태의 시간 재배치가 필요했을까 싶은 생각을 갖고 계속 읽게 됩니다. 결국, 맨 마지막 단편에서 이 모든 것이 작가의 의도에 포함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시대의 목격자와 추리소설
각 단편에서 당시의 시대상과 경찰의 상황을 자세하게 드러냅니다. 예를 들면, 홍콩 반환 시점 전후로 사회상은 어떠했고, 경찰 공무원 사회에서는 변화에 대해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에 대해서 적기도 합니다. 작가의 주된 입장은 날선 비판에 기울어 있습니다. 추리 소설에서 이런 면모를 보이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저 독자들과 대결하거나, 최소한 이야기를 끌고 가기 바쁘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은 수십 년에 걸쳐 당시의 홍콩 사회의 일상을 조금씩 엿볼 수 있게 해 줍니다. 그러면서도 이야기의 전개를 방해하거나 산만한 느낌을 주지 않습니다. 낯설기는 하지만, 시대상을 담아내는 어려운 일을 추리소설 안에서 성공적으로 해내는 작가의 역량이 놀랍습니다.
이 작가의 다른 작품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분들이 이 작품 이외의 작품을 추천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독서 팟캐스트 “YG와 JYP의 책걸상”의 13.67 편 (2025년 2월 3일 및 2월 5일 에피소드)에서 출연자분들이 이 작품을 작가의 최고 작품으로 꼽고 있기 때문입니다. 저도 이 작품에서 드러난 역량이 계속 발휘되기는 어렵지 않을까 짐작해 봅니다. 참고로, 저는 위 팟캐스트 에피소드를 들으면서 책에 대한 관심을 이어갈 수 있었지만, 에피소드 자체로는 책 이야기 자체보다 관련한 다른 작품 등에 대한 분량이 더 많은 부분을 염두에 두셔야 할 것 같습니다.

[링크] [책] 13.67 – 찬호께이 (교보문고)
13.67 | 찬호께이 – 교보문고 (kyobobook.co.kr)
[링크] [책] 십각관의 살인 – 아야츠지 유키토